얼마 전 네이버의 한 유명 건담 블로그가 무기한 비공개에 들어갔습니다. 위 캡쳐는 현재 그 블로그의 대문 사진인데요 먼저 주인장의 허락없이 대문을 캡쳐하였기에 죄송하다는 말씀부터 드리고 싶습니다. 위 블로그 대문을 보시면 이 글의 주제를 파악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바로
"블로그는 과연 개인의 것인가, 모두의 것인가?" 입니다.
저야 뭐 "마프티베이스"라는 군소 건담 블로그를 운영하는지라 그러한 고민을 할 이유가 없지만 소위 파워 블로거라 불리우는 분들의 몇몇 건담 블로그 및 음식 블로그에서 댓글을 통한 그와 관련한 논쟁을 접해왔기에 결국 이러한 글을 쓰게 되었으며 특히 위 블로그의 무기한 비공개가 저에게 이 글을 쓰게한 큰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혹자는 개인이 만든 블로그는 당연히 개인의 것이며 상대방이 댓글로 뭐라고 하든지 주인장 마음대로라는 말씀을 하십니다. 즉 "내가 주인장인데 여기 무슨 글을 쓰든지 너네가 무슨 상관이냐?" 하는 식의 반응이죠.
블로그는 개인의 특성을 반영하며 개인의 감정의 배출구 역할 또는 개인의 생각이나 정보를 올리는 곳이기에 지극히 개인의 것이라는 견해라고 볼 수 있겠는데 은근히 이러한 견해 혹은 경향이 많은 블로그 운영자의 머리에 알게모르게 자리잡고 있는 것 같습니다. 솔직한 심정으로 저도 제가 운영하는 블로그에 누가와서 "이 내용은 틀렸는데요 이렇게 고쳐야죠"하고 댓글을 달아놓으면 기분이 썩 좋진 않습니다. 설혹 그 지적이 정당하고 객관적인 지적이더라도 말 입니다. 생각해보면 그렇습니다. 내가 공들여 써놓은 글에 누가와서 뭐라고 하면 누가 기분 나쁘지 않겠습니까? 시쳇말로 내가 쌔빠지게 써놨더니 글쓰는데 도움도 주지 않았으면서 슬쩍와서 보더니 하는 말이 달랑 글 내용 틀렸으니 고치라는 지적하나라면 당연히 기분 나쁘겠죠...당신이 날 언제 봤다고...(이 부분은 블로그의 유료화, 상업화가 정당한가?라는 주제와도 겹치는데 이는 다음에 시간되면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대개 댓글을 다는 분의 양식 때문에 일어나는 문제가 많지 않은가하고 조심스레 생각해봅니다.
위에 대문 사진을 캡쳐해놓은 건담 블로그의 비공개는 대문에 그 주인장 분이 글을 써놓으셨듯이 악성 댓글로 인한 것이었습니다. 제가 논쟁이 있던 댓글들을 보았을 때 댓글을 단 사람의 주인장에 대한 반발심과 공격성이 아주 가관이더군요... 한 마디로 "주인장 니가 뭐가 잘 났는데 글을 그 딴식으로 쓰고 내 생각은 무시하냐?" 뭐 이런 것이었습니다. 제가 그 주인장이었으면 벌써 모니터 하나 부쉈을 겁니다.
이러한 악성 댓글자들은 차치하고서라도 정당한 지적을 위한 댓글도 글을 쓸 때 먼저 주인장의 글쓴 노고를 치하하면서 "우와 글 잘 읽었습니다. 그런데 이 부분은 이러이러해서 잘못된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라고 쓰면 주인장이 과연 그 글을 보고 "지가 뭔데 내 글에 난리야?" 이런 반응을 보일까요? 기본적인 가정교육 받은 주인장이라면 그렇지 않을 겁니다. 댓글에 대한 답으로 "지적해주셔서 감사합니다^^"이런 식으로 글을 다시 달아주겠죠... 그런데 좀 다르게 지적 댓글을 단다고 생각해 보죠. "이거 그게 아니고 이겁니다." 이렇게 쓰면 솔직히 정당한 지적이라도 주인장 기분이 썩 좋진 않을 겁니다. 일단 쌩판 모르는 사람이 인사도 없이 지적만 달랑하고 가버리면 어느 누구도 기분 좋아라 하진 않을 겁니다. 겉으로 답글은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이렇게 쓸지 몰라도 속으로는 "그래 너 잘났다~" 이렇게 되지 않을까요? 이러한 무성의한 지적성 댓글 및 위에서 말씀드린 악성 댓글은 주인장의 주인의식(= 블로그는 개인의 것이다라는 의식)을 더욱 더 고취 시킨다고 생각됩니다. 자기가 운영하는 블로그에 대한 양식없는 댓글은 내 블로그인데 네가 왜 난리냐는 식의 생각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고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누구든지 자기가 어떤 일을 했는데 누가 와서 뭐라고 하면 내가 한 일인데 네가 뭔 상관이야? 이런 생각이 들지 않습니까? 이러한 생각이 이성적이든 비이성적이든 심정적으로 드는 것은 당연하다고 사료됩니다.
물론 댓글을 다는 사람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어떤 파워 블로그는 (예를 들면 다음 음식블로그 "맛?") 주인장의 개인적인 주관이 너무 뚜렷하기에 거기에 대한 반발심을 글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가지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맨 위의 건담 블로그 주인장도 그에 속하는 분이라 볼 수 있겠네요. 맛집에 대한 평가나 건담의 어떤 시리즈에 대한 평가는 주관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극히 개인적인 주관성이 몇몇 사람들의 눈에는 독선적으로 보일 수도 있다는 것 입니다. 너무 주관이 뚜렷한 글은 호불호가 갈리지 않겠습니까? 쉽게 말해서 "세상에 너만 잘났냐?"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이겁니다.(저도 사람이기에 어떤 블로그는 들어가서 보면 그런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문제는 그 글을 보는 공간이 블로그이기에 댓글이라는 기능이 있다는 것이지요... 그렇기에 주인장의 글에 기분 상한 사람이 악성 댓글을 달거나 당신 생각이 틀렸다는 등의 과격한 댓글을 달게되는 경우도 있다고 봅니다.(실제 사례를 들면 문제가 생기기에 패쓰합니다~)
저는 심정적으로는 그런 글을 보고 그런 생각을 가지게되어 댓글을 과격하게 달거나 싸가지 없는 지적식으로 다는 것에 동의 합니다만 이성적으로는 동의 할 수 없습니다.
왜 그런지 결론적으로 말하면 블로그는 개인성과 공공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매체 입니다. 개인의 주관적인 견해를 어떤 식으로 쓰든지 그 것은 주인장의 마음입니다. 그 점이 블로그의 매체로써의 장점이기도 하죠.
주인장의 글에 기분이 상했다면 예의를 갖추어 댓글로 반박을 하면 되는 것이고 정 그 것이 안먹히거나 싫다고 하면 그냥 그 블로그를 이용하지 않으면 되는 것 입니다. 블로그에 쓰는 글은 주인장의 권리이므로 그 글을 가지고 이래라 저래라 하는 것은 블로그의 개인성을 침해하는 행위이죠...(댓글을 통한 의견개진이 나쁘다는 것이 아닙니다. 의견개진은 예의를 갖추어야 하며 그 것은 의견일 뿐이지 그 글을 이렇게 써야한다 말아야한다고 할 권리는 블로그 방문자에게 없다는 말 입니다.) 다만 주관성을 뛰어넘어 객관적인 사실자료는 블로그가 하나의 매체이므로 공공성의 측면에서 주인장이 신경을 써야하며 틀린 부분이 있다면 방문자가 이렇게 수정해주세요라고 말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이러한 블로그의 개인적인 부분, 공공적인 부분을 구분하지 못하고 무분별하게 남의 블로그에 와서 행패를 부리거나 자기 기분 나쁘다고 뭐라고 댓글을 달고 가시는 분들이 꽤 많다는 것이죠...
파워 블로그의 경우 많이 볼 수 있는 경우이지만 주인장의 주관적인 글에 기분이 나쁘다고 감정적으로 댓글을 다는 것도 잘못된 것이고 객관적인 주인장의 글에 대한 정당한 지적 댓글에(물론 넷상이라 할지라도 처음 보는 사람이니 예를 갖춰 지적해야겠죠...) 감정적으로 대응하는 주인장도 잘못된 것 입니다.
중구난방 정신없이 글을 쓰느라 내용이 산으로 갔다 들로갔다 강으로 갔다하지만 이 글 또한 저의 주관적인 생각을 담은 글이니 너그러이 이해해 주시길 바라며 역시 블로그 논쟁과 관련된 문제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 상호예의의 문제 같습니다. 상호예의가 제대로 넷상에서 이루어진다면 굳이 이런 주제를 글을 쓸 일도 없었겠죠... 여하튼 정신사나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며 넷상 뿐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도 상호예의가 잘 이루어지면 좋겠습니다.(저도 유념해야겠죠^^)
그럼 좋은 하루 되세요!!! 이상 마프티 베이스 두목 마프티였습니다.
'MAFTY 전투지원단 > 부대장 관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닝구 무스메 연예혁명21을 듣고 있습니다. (0) | 2010.08.02 |
---|---|
오늘은 날씨가 춥네요... (0) | 2009.12.05 |
애니메이션은 애들만 보는 것? (0) | 2009.08.05 |
아야나미 레이의 재해석 채색 version 입니다. (0) | 2009.07.28 |
시모노세키가 이런 곳이었군요^^ (0) | 2009.06.07 |